낯선 아침이 오면 숨길 꽃이 있습니다

ISBN : 979-11-92134-55-0

저자 : 이예준, 재언, 김새미, 양희진, 오준희

페이지 수 : 224p

발행일 : 2023. 11. 28.


책 소개 :

어떤 이의 글을 읽는다는 건 그 사람과 함께 걸으며 이야기를 듣는 것과 같습니다.

때론 낯선 사람에게 마음을 털어놓는 일이 더 큰 위로를 받을 때가 있습니다.

시인의 말에는 위로가, 희망이, 그리고 공감이 있습니다.

시인의 언어를 마음에 담아본 적이 있나요?

이예준 시인의 외로움 속 담담한 용기가, 재언 시인의 깊고 깊은 사색이, 김새미 시인의 순수 그대로의 감정이, 양희진 시인의 한 사람을 위한 편지 같은 위로가, 그리고 오준희 시인의 청춘의 낭만이 여러분을 한층 더 깊게 만들어 드릴 거라 믿습니다.

어딘지 모르게 낯선 아침의 공기에서 그간 전하지 못한 시인의 마음을 전합니다.



출판사 서평 : 

시인이 많은 사회가 좋은 사회라 믿습니다. 시로 마음을 전하는 것에 나이의 많고 적음이 무슨 의미가 있겠느냐마는, 우리 사는 사회에 젊은 시인이 전하는 메시지가 더 많기를 바라는 마음은 언제나 욕심이 나는 부분입니다.

세대 간의 갈등이 어느덧 사회를 뒤덮고, 마음을 나누고 따스함을 전하기보다는 자극과 욕망이 인간을 경주마로 만드는 시대가 아직은 오지 않았다 믿고 싶습니다.

이예준, 재언, 김새미, 양희진, 그리고 오준희. 다섯 시인의 마음이 세상에 전해진다는 것만으로도 큰 의미를 부여하고 싶습니다. 그들의 고뇌가, 위로가, 그리고 낭만이 세상을 더 인간적으로 만들 것이라 믿습니다.



저자 소개 : 

이예준

다시 겨울이 오고 있습니다.

제 시가 따뜻하지는 않을지라도

다소 이르게 오는 밤에 곁을 지켜줄

옅게 빛나는 등이 될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알지 못하는 아침이 와도

슬픔이, 변화가, 고통이 슬며시 다가와도

시집의 소제목처럼 언젠가

담담히 감당해낼 수 있기를 바랍니다.

 

외로움은 우리의 반려입니다.

저는 그것에 익숙해지지는 못하더라도

어느 정도 함께하는 법을 배우게 되었습니다.

여러분도 각자의 터널 안에서 부디 담대해지시기를.

 

 

재언

묻는다면,

나는 이른 새벽 도시의 경계를 흐트러 놓는 안개입니다

고개를 빳빳이 세운 설익은 소년의 벼이며

걸려 넘어질 발목이 없는 바람입니다

비와 눈물로 자라난 나무들에

발길이 닿지 않아 무성해진 숲입니다

당신은 나를 나무라고 부르더군요

뿌리가 깊게 박혀 벗어날 수 없을 거라고,

걱정하지 마세요 저는 제 몸을 베어 굴러갈 겁니다

흩어진 잎과 열매가 닿는 곳마다 제가 있으니

저를 숲이라고 부르는 게 맞지 않을까요

  

 

 

김새미

평소 시니컬하고 로봇 같다는 얘기를 많이 들었는데 로봇도 감정이 있기에 내가 지금까지 살며 느꼈던 것들을 이 시에 담았다. 전에는 평범한 일상을 보내면서 어떤 일이 있어도 누구나가 겪는 일이라며 그렇게 넘겼는데, 생각해보니 누구나 겪는다고 그게 당연한 일이 되는 것은 아니었다. 당연하지 않은 일을 당연하지 않은 일로 기억하기 위해, 그때의 감정을 위로하고 추억하기 위해, 내 마음을 담아 한 글자씩 써 내려갔다. 긴 인생을 살아온 것은 아니지만 지금까지 살면서 느꼈던 희로애락과 경험, 추억을 필터링 없이 순수의 감정 그대로 담았다. 가끔은 시니컬하고 부정적이고 무정하지만 어쩔 땐 서정적이고 감성적이고 감정적이다. 하지만 이 모순되어 보이는 모든 것들이 나이기에 가감 없이 나를 담아 이 시를 써 내려갔다.

  

 

양희진

오늘도 담담히 울었습니다.

그 눈물은 종이 위를 구르다 말라갑니다.

혼자 우는 것이 억울해서,

약간의 애틋함과 투정을 담은 말로 적었습니다.

 

‘글’의 가치는 무엇일까요.

공감을 얻는 글이 좋은 글일는지요.

사실 답을 찾지 않을 생각입니다.

그러나 이것만은 궁금합니다.

내 글은 당신에게 감동을 줄 수 있을까요.

알 수 없으나, 이 말을 그대와 나를 위한 편지입니다.

빙빙 돌린 이 말이 위로가 될 때

그대와 나의 영혼은 비로소 닿은 것입니다.

 

계절과 파도와 우주를 빌려 전하는 이 말들이 닿을 날까지

나는 이 자리에서 묵묵히 견딜 생각입니다.

그리고, 기회가 된다면 지친 그대를 안아주고 싶습니다.

  

 

오준희

 24세의 철없는 시인.

글을 사랑하며, 낭만을 좇는

평생을 철들고 싶지 않은 사람.

시인이라는 말에 쑥스러워하며

시인으로 평생 남고 싶은 사람.



책 속 내용 :

무로맨틱한 헌신 _ 이예준

 

사랑을 믿지 않습니다

그래서 비 오는 날도 싫어합니다

뒷맛 남기는 것이 똑 닮았거든요

흐름성 있는 것들에 무신경합니다

그저 살가운 바람에 살갗이 에지 않도록

늘 한 겹씩 더 걸치고 다닙니다

 

나를 오랫동안 찾지 않아도 좋습니다

달뜬 밤 밀회를 하다 늦어도 좋습니다

땅끝까지 곤두박질쳤다 올라와도 됩니다

다만 편도 말고 왕복 티켓을 사놓겠다고

그것만 손가락 걸고 약속해 주시기를

 

비가 오다 말다 하는 날에도

한낮에 잠에서 깨 눈물 흘리는 날에도

나는 다그치지 않겠습니다

낮보다 따사로운 밤색 눈동자로

밤새 발자국 하나 없는 뒷산을 응시하다

당신이 입 밖에 내고 싶어 견딜 수 없는

어떠한 비밀이 생기기를 기다립니다

 

  

단수 _ 재언

 

간지러운 머릿속은 긁어보려도

영 손이 닿질 않는다

 

똑똑, 두드리면 안에서 수십 명

소란스럽게 떠들어 대는데

주인은 온데간데없고

 

잠깐 집을 비운 사이

담쟁이넝쿨처럼 기어들어 온

나쁜 생각들이

습관이 되어 주인 행세를 한다

 

줄기는 쳐도 쳐도 끝이 없어

뿌리를 뽑아야 할 텐데

언제쯤 바닥을 볼 수 있으려나

 

우물 속을 바라보듯

마음을 내려다본다

 

 

 

감정의 추 _ 김새미

 

이제 작은 일로는 마음이 움직이지 않는다

 

전에는 묵직한 무게를 차지했던 것이

지금은 한 손으로 들 만큼 가벼워졌다

 

좋은 말로는 마음이 단단해졌다고 하지만

이제는 무겁지 않은 일들은 하찮게 느껴져

그 본래의 감정을 느끼기 힘들다

 

처음에는 가는 바람에도

흔들리던 작은 추였는데

 

지금은 매서운 바람에야

흔들리는 두껍고 무거운 추가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_ 양희진

 

언젠가부터 가슴을 울린 말이다

 

포기하지 않는 다리와 극복의 심장

여덟 자에 모든 의지를 결연하게 비추는

강한 자들을 위한 주문

 

먼발치의 네가 못 박아두었다

공책 한 켠

핀이 꼽힌 게시판

벽걸이 액자

아니, 그보다도 중요해서

판자에 새겨 박아두었다

 

쾅쾅 울려서

‘나’를 기어이 일어서게 하는

 

언젠가부터 가슴에 못질 소리를 울린 말이다

 

 

  

뿌리의 마음 _ 오준희

 

저물어 가는 봄날과 함께 저버려도

내가 꽃임을 보여주었으면 그걸로 되었다

향기를 잃어도 꽃은 그저 꽃이며

잎이 다 떨어져도 꽃은 그저 꽃이다

오래 지나지 않아 메말라 가더라도,

푸르던 색을 잃고 뿌리만 남더라도

내가 피어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면

나는 시들어 버린 꽃이 되어도 괜찮다

꽃은, 그저 꽃이니까